전자제품을 보다보면 다양한 인증제도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인증제도가 KC인증과 KS인증입니다.
여기서는 비슷해보이기도 하는 이러한 인증 제도의 정확한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C인증 뜻
KC 인증에서 K는 Korea를 의미하고 C는 Certification을 의미합니다.
즉 한국 인증인데 굳이 번역하자면 국가통합인증을 의미하고 법적으로 전자제품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법정 의무 인증 제도입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 KC인증 마크가 없으면 불법이겠죠?
그리고 보통 KC인증은 안전인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자제품에서 안전한지 여부는 필수이기 때문에 KC 인증은 필수이고 그래서 법정의무 인증제도인 것입니다.
KS인증 뜻
KS 인증에서 K는 역시 Korea이고 S는 Standard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KS는 한국산업표준을 의미하고 보통은 품질 인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인증은 제품도 제품이지만 기업이 제품을 국가표준에 맞게 생산하고 있는지를 검사해주는 인증제도로 법적의무인증제도는 아니고 법정임의 인증제도입니다.
하지만 보통 KS가 있는 제품을 선호할테니 비용 등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인증을 받으려고 하겠죠.
특히 관공서 등에서는 KS 인증을 받은 제품이 선별된다고 하니 시장에서 유명한 브랜드들은 대부분 받았을 것입니다.
KC 인증과 KS 인증 관련된 글을 읽다보면 KC 인증은 안전인증이고 KS 인증은 품질인증이라고만 적혀 있는 글도 많은데 물론 맞는 말이지만 이해를 하고 적은 글은 아닌 것 같습니다.
KS인증 KC인증 차이점
KC 인증은 제품을 유통하려면 무조건 받아야하는 제품에 대한 안전인증이고 KS 인증은 제품뿐만 아니라 기업자체가 국가표준에 맞게 생산하고 있는지까지 점검하는 품질인증이고 무조건 받아야하는 강제사항은 아니지만 받는 것이 훨씬 유리한 인증제도입니다.
따라서 KS 인증이 KC 인증보다 상위에 있는 인증 개념이라는 생각도 드네요.
결과적으로 KS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KC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죠.
저도 자세히 알기 전에 다른 글을 보고는 안전을 위해서는 KC 인증을 받고 품질을 위해서는 KS 인증을 받는거라고 단순히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였네요.
'제품 descrip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폼롤러 뜻 언제 필요한지 고르는 방법 (0) | 2024.02.19 |
---|---|
냉장고 전기요금 에너지효율등급 차이 얼마나 나는지 계산법 (0) | 2023.12.21 |
통돌이 드럼 세탁기 동작원리 세탁효과 비교 (0) | 2023.12.04 |
EMF 뜻 EMF 인증 (0)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