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상식

주주배정과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주요한 차이점

by 변화마스터 2025. 4. 15.
반응형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기업이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고 이를 금전과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신규 사업, 시설 투자, 부채 상환 등의 목적으로 자금을 확보할 때 활용됩니다. 유상증자는 자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으며, 자금 조달 방식에 따라 주주배정 방식 제3자배정 방식 일반공모 방식 등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방식은 신주의 배정 대상, 절차, 장단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기업의 전략과 상황에 따라 선택됩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들에게 일정한 비율로 신주 인수권을 부여하여 그들이 우선적으로 신주를 인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주주가 1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면 신주 발행 규모의 10%만큼 신주를 인수할 권리가 주어집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 주주의 지분율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주주가 신주 인수를 원하지 않을 경우 권리락 이후 주가 하락에 따른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신주 인수 청약 절차가 필요해 자금 조달까지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반응형

제3자배정 유상증자

제3자배정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가 아닌 외부의 특정한 제3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전략적 제휴를 맺은 기업이나 기관 투자자 혹은 경영권 방어를 위한 우호세력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진 대상에게 신주를 배정합니다.

이 방식은 빠르게 자금을 유치할 수 있으며 기업이 원하는 투자자에게 선택적으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는 유연성이 있습니다.

다만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희석되는 문제가 있고 공정성 논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 지배구조나 소액주주의 입장에서 논란이 될 소지가 있습니다.

상장회사의 경우 공정한 가격 산정과 이사회 승인 등의 절차가 요구됩니다.

반응형

주주배정과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주요한 차이점

주주배정과 제3자배정 유상증자는 신주의 배정 대상과 절차 목적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주주배정은 기존 주주에게 신주 인수 기회를 우선적으로 부여해 지분율 유지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공정성이 강조됩니다.

반면 제3자배정은 기업이 선택한 외부 투자자에게 신주를 직접 배정함으로써 신속한 자금 조달과 전략적 목적 달성이 가능합니다.

주주배정은 시간이 다소 소요되지만 주주의 권리를 보장하는 반면 제3자배정은 절차가 간소해 빠른 집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주주의 지분이 희석될 수 있으며 이사회 결의나 주주총회 승인을 통해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2025.03.17 - [경영상식] - 엔캐리 청산 뜻 경제에 미치는 영향

 

엔캐리 청산 뜻 경제에 미치는 영향

엔캐리 청산 뜻앤캐리 청산은 엔화 캐리 트레이드의 포지션을 정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엔화 캐리 트레이드는 일본의 낮은 금리를 활용해 엔화를 저금리로 차입한 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

cartney7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