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암호화폐)

MM 뜻 구조 참여방법 주의할점

by 변화마스터 2025. 5. 15.
반응형

MM 뜻

MM은 Market Making의 약자로, 말 그대로 ‘시장 조성자’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거래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매수와 매도 호가를 채워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토큰을 사고 싶은 사람이 있어도 팔려는 사람이 없다면 거래가 이뤄지지 않겠죠. 이럴 때 MM이 양쪽 호가를 모두 제공함으로써 유동성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특히 시가총액이 작고 유동성이 부족한 프로젝트일수록 MM의 역할이 더 중요해집니다.

MM 뜻 구조 참여방법 주의할점

MM에 대한 자세한 구조 예시

MM 계약은 단순히 토큰을 사고파는 수준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꽤 복잡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사례인 Kaito 프로젝트를 보면, 재단이 MM에게 전체 토큰의 2.5%에 해당하는 2,500만 KAITO를 빌려줍니다.

이 토큰은 거래쌍의 매도 호가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반대로 MM은 자기 자금으로 7천만 달러의 스테이블코인을 거래소 계좌에 예치해야 하며, 이 자금은 7개 구간으로 나눠 순차적으로 예치됩니다.

첫 번째 구간인 1천만 달러는 상장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하고, 이후 유동성 잔고가 5백만 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30분 이내에 추가 예치해야 하는 조건도 붙어 있습니다.

이처럼 MM 계약은 실제 자금을 넣고, 거래소에서 유동성을 직접 운영해야 하는 구조입니다.

반응형

MM에 참여하는 방법

MM에 참여하려면 보통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합니다.

먼저 프로젝트 팀과 협상을 통해 계약 구조를 확정하고, 토큰을 일정량 빌리는 방식으로 유동성 공급 권한을 얻습니다.

이 과정에서 콜옵션이나 토큰 대출 조건이 포함될 수 있고, 스테이블코인으로 유동성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자금력이 있어야 합니다.

일반 개인이 참여하기는 어렵고, 전문적으로 유동성 공급을 운영하는 업체들만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또한 여러 거래소와의 연동 시스템과 리스크 관리 체계가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MM 주의할 점

MM 계약은 겉으로 보기에는 시장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리스크가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문제는 락업 조건이 없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빌린 토큰을 MM이 바로 시장에 매도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것이 사실상 재단이 직접 덤핑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매도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공개된 계약서에 락업 조항이 없거나, 조건이 애매하게 설정된 경우 투자자 입장에서는 큰 리스크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M 구조를 볼 때는 단순히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만 보지 말고, 실제로 어떤 식으로 토큰이 운용되는지, 락업은 있는지, 계약 구조는 투명한지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2025.04.16 - [경영상식] - 투자라운드 순서 시드투자 뜻

 

투자라운드 순서 시드투자 뜻

투자라운드 순서스타트업은 성장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투자라운드를 거치게 됩니다.이 투자라운드는 일반적으로 시드투자에서 시작하여 시리즈A, 시리즈B, 시리

cartney7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