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컴퓨터상식

트위터 포스팅 댓글 Posts Replies 차이 및 포스트가 자꾸 Replies 쪽에 올라가는 경우

by 변화마스터 2025. 7. 2.
반응형

최근 트위터도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데 제가 알고 있는 트위터 사용법에 대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트위터는 검색 기반보다는 노출 기반의 플랫폼이기 때문에 노출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이런 부분 크게 신경 안쓰고 살았는데 알게 되면 의외의 부분이 보여서 공유드릴게요~

Posts와 Replies의 차이

Posts는 트위터 화면에서 포스트 버튼을 눌러 작성하는 일반적인 게시물입니다.
반면 Replies는 다른 사람의 포스트에 댓글을 달았을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형식입니다.
이 Replies는 내가 단 댓글뿐만 아니라 원래 댓글을 단 그 글도 함께 보여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구분이 헷갈리고 꽤 복잡하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계속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트위터에서 기본적으로는 Posts가 메인 섹션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Replies보다 Posts가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게 됩니다.
즉, 같은 내용이라도 어떻게 올리느냐에 따라 노출량이 크게 차이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반응형

인용과 리포스팅

트위터에서 인용하기나 리포스트 기능을 사용하면 해당 글은 Posts 영역에 포함되어 올라갑니다.
따라서 리플라이와 달리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포스트가 자꾸 Replies 쪽에 올라가는 경우

사실 이 내용을 공유하게 된 핵심 이유입니다.

저도 몰랐었을 때는 어떤 글은 포스트 섹션에 보이고 어떤 글은 리플라이 섹션에 가 있어 처음에는 랜덤이라고 생각하고 그냥 넘긴 적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트윗의 맨 앞에 @계정을 적을 경우 트위터에서는 그 글을 특정 사용자에게 댓글을 단 것으로 인식해서 자동으로 리플라이 섹션으로 분류하게 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올린 글 중에 글 시작 부분이

반응형

@abc
이렇게 되어 있으면 아무리 포스트 버튼을 눌러 작성해도 결국 리플라이 섹션으로 들어가게 되는 구조였습니다.

원래는 이 3번 항목만 간단히 정리해볼까 했는데 쓰다 보니 길어져서 여기까지 정리해 보게 되었습니다.
혹시 저처럼 헷갈리셨던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5.06.26 - [IT 컴퓨터상식] - 트위터 트윗 포스팅 팔로우 좋아요 한도 제한

 

트위터 트윗 포스팅 팔로우 좋아요 한도 제한

다음은 트위터 공식페이지에 있는 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저도 열심히 읽어보았지만 한도가 있다는 것 외에는 도움이 안되는 말이었습니다.일단 한도 제한이 실제 경험과 비교하면 너무 넓더

cartney7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