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조인 뜻, 조인 종류(등가조인, 비등가조인, 자체조인, 외부조인)
SQL을 다루다보면 조인이라는 용어를 듣게 됩니다. 엑세스에서도 조인이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하고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편리한 핵심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조인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 것 입니다. 그 밖에 조인종류인 등가조인, 비등가조인, 자체조인, 외부조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인은 두 개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하나의 테이블처럼 출력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다양한 테이블에 나뉘어서 저장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업무에서는 여러 테이블을 조합해서 출력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조합을 해주는 것이 조인입니다. 이러한 조인은 대상 데이터를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등가조인, 비등가조인, 자체조인, 외부조인으로 나뉘..
2020. 11. 28.
SQL 명령어 종류 (DDL, DML, DCL, TCL, DQL 등)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자료를 다루는 언어를 의미합니다. 표준화를 따르기 때문에 오라클, MySQL, MsSQL 등 프로그램이 다르다고 하더라도 거의 같기 때문에 한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안다면 다른 프로그램도 쉽게 다룰 수 있다고 합니다. SQL 문장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의 문장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DDL, DML, DCL이라고 하는데 DDL은 Data Definition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 정의어라고 합니다.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해 생성, 드랍, 변경하는 역할을 하고 CREATE, DROP, ALTER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DML은 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 조..
2020.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