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황금돼지띠 백마띠 검은토끼띠 계산법

by 변화마스터 2022. 12. 27.
반응형

지금 글을 쓰는 시기는 2022년 12월말로 곧 2023년을 맞이할 시기입니다.

새해를 맞이하는 시기이다 보니 내년이 무슨 띠이기 때문에 해당 동물에 대한 마케팅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2023년은 잘 알다시피 토끼띠입니다.

그런데 토끼 중에서도 검은 토끼띠라고 하네요.

보통 무슨 동물띠인지는 많이 언급되지만 앞에 색깔이 붙어서 유명한 띠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근래로는 2019년에 황금돼지띠라고 해서 주변에서 많은 마케팅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동물이 정해지는 것은 너무나도 잘 알텐데 그럼 이 색깔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요?

그걸 알아보는 공식 아닌 공식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검은토끼띠 계산법

우선 두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1.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10개

2.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2개

이걸 곱하면 120이 나오고 경우의 수가 120개가 됩니다.

하지만 둘 다 짝수라서 순번대로 돌아갈 경우 120개의 경우의 수가 생기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갑축년은 존재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60개의 경우의 수만 생기고 60갑자라고 하게 됩니다.

2022년은 임인년입니다.

갑을병정에서 아홉번째인 임, 자축인묘에서 세번째인 인이 합쳐져서 임인년이 된 것입니다.

그럼 2023년은 어떻게 될까요?

임에서 하나 더 간 계, 인에서 하나 더 간 묘가 합쳐져서 계묘년이 됩니다.

이렇게 하나씩 더가서 합쳐주면 우리가 원하는 년도를 알 수 있습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가 무슨 동물을 의미하는지를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

집사님들이 아쉬워하겠지만 고양이는 없네요.

어쨌든 여태까지 계묘년이 어떻게 나오고 계묘년에서 묘가 토끼를 나타내기 때문에 2023년이 토끼띠의 해라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이제 본론인데요.

 

2) 황금돼지띠 계산 방법

그럼 색깔은 어떻게 알아볼까요?

흔히 1978년생 말띠를 백마띠라고 하고 1990년생도 백마띠라고 합니다.

1978년은 무오년, 1990년은 경오년, 2019년은 기해년.

그래서 동물띠로는 1978년은 말띠, 1990년도 말띠, 2019년은 돼지띠입니다.

색상은 바로 첫글자에서 따오는데

갑을-푸른색, 병정-붉은색, 무기-황금색, 경신-흰색, 임계-검은색이 됩니다.

1978년은 무오년으로 무는 황금색, 오는 말을 의미하므로 황금말띠가 됩니다.

1990년은 경오년으로 경은 흰색, 오는 말을 의미하므로 흰말(백마)띠가 됩니다.

2019년은 기해년으로 기는 황금색, 해는 돼지를 의미하므로 황금돼지띠가 됩니다.

다른 것은 다 맞는데 1978년생을 백마띠라고 많이 들어왔는데 아니네요.

그리고 2023년은 계묘년으로 계가 검은색이기 때문에 검은 토끼띠가 됩니다.

 

2023.08.21 - [드라마] - 폭싹 속았수다 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