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상식

SI와 FI (에스아이와 에프아이)

by 변화마스터 2022. 8. 18.
반응형

M&A업무나 신규투자 업무를 하다보면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나옵니다.

정확하게 알아듣고 약간 긴 약자라면 검색을 통해서 알 수 있지만 두 글자 약어 용어들은 검색을 해도 원하지 않는 뜻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에스아이와 에프아이입니다.

이 둘의 구별은 때때로 매우 중요한 의미로 쓰이는데 약어로 SI, FI를 검색해보아도 다른 용어가 나오는 경우가 많고 누구한테 물어보기에는 업무를 잘 모르는 것 같아서 대충 흘러가는 대화를 듣고 이해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알면 매우 간단한 용어이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I. (에스아이) = Strategic Investor 전략적 투자자

F.I. (에프아이) = Financial Investor 재무적 투자자

약어의 풀이와 한글 해석은 위와 같습니다.

그럼 이 두개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략적 투자인 SI는 일반적인 회사가 인수를 고려할 때의 투자방법입니다.

투자를 통한 자본이익뿐만 아니라 회사의 경영권에 관심이 있고 그 회사와 자신의 회사의 시너지를 위해 정책에도 관심이 있는 상황에서는 SI투자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SI투자를 하면 그 회사의 인적자원과 사업노하우, 그리고 자본을 투입하여 회사를 성장시키고 이러한 성장의 시너지효과까지 더하여 두 회사의 가치가 극대화되는 것을 추구합니다.

당연히 일반적인 회사에서는 이러한 투자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하지만 원하는 것이 클수록 투자는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FI는 순수히 회사를 투자자산으로보고 추후 회사의 가치가 높아져서 되파는 것에 주로 초점을 맞춘 투자방법입니다.

주로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의 금융권 회사들이 이러한 방식의 투자를 많이 합니다.

투자받는 입장에서도 두 가지 중에 하나를 결정해야 하는데 FI의 경우 투자금을 유치할 수는 있지만 재무적 수치에 따라 투자자가 짧은 기간에 성과를 요구할 수도 있는 반면 회사에 무리한 경영참여는 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SI는 투자회사의 사업적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자칫하면 경영참여에 의해 회사의 정책이 끌려다닐 수 있습니다.

물론 위의 내용은 회사의 상황, 투자자, 투자받는 사람의 성향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으니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결정해야할 것 입니다.

 

 

반응형

'경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보팅 뜻 스타트업, 경영  (0) 2022.08.28
코픽스 뜻 (KOPIX) - 코픽스금리  (0) 2022.08.18
밈 뜻과 밈주식 Meme Stocks  (0) 2022.08.10
UTM 태그 뜻  (0) 2022.08.06
제로파티데이터, 콜드스타트 뜻  (0) 20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