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상식

피보팅 뜻 스타트업, 경영

by 변화마스터 2022. 8. 28.
반응형

최근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 피보팅을 중시한다라는 내용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피보팅뜻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팅이란 영어 pivoting에서 왔다는 것은 많이 알고 있을 것입니다.

경영학 용어전에 남자분들이라면 피봇플레이라고 농구에서 많이 들어봤을 것이고 엑셀을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은 피봇이라는 기능에 대해서도 잘 아실 것입니다.

pivot은 중심축, 회전하다라는 용어입니다.

경영에서 쓰는 피보팅이란 뜻은 주변 환경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시장환경에 맞게 변화한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스타트업에서는 빠르게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 제품 Minimum Viable Product, 약자로 ,MVP를 빠르게 생산하여 시장에 내놓은 후 소비자 및 시장의 반응을 보고 그에 따라 제품을 빠르게 개선하면서 점점 진일보한 상품을 만드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제 대기업 등에서도 이러한 전략을 많이 쓰고 이러한 전략을 피보팅이라고 부릅니다.

앱이나 웹, 그리고 다양한 4차산업 기술은 그 자체가 너무 복잡하고 기능적으로 완벽하다고 하더라도 소비자의 외면을 받으면 쓸모가 없어집니다.

기술이나 기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소비자들에게 필요가 없는 기능, 기술은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피보팅은 이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론적으로 중요한 것보다 실제 소비자의 생활에서 사용이 되는지 마는지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앞으로 피보팅 기법은 더욱 많이 사용되는 개념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본축이 어디까지이고 변화하는 것은 어디인지 그 기준을 잘 잡아야한다는 것입니다.

기본축을 잃어버리게 되면 피보팅이 아닌 아예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가 되어버리고 또한 기본축이 잘못되었다면 얼른 기본축마저 다시 구축할 결단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피보팅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어떨때에는 기본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할 수도 있지만 어떨때는 기본축마저 사고의 전환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그것은 아무도 모르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