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자동차91

엔진 액츄에이터 차이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엔진과 엑츄에이터가 필요합니다. 흔히 엔진은 원동기라고 하고 액츄에이터는 구동기라고 하는데 원동기, 구동기 알듯하면서도 어려운 개념에 대해서 공부한 것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내연차의 원동기 구동기 원동기는 원동기는 연료를 연소시켜 직접적으로 동력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기기입니다. 원동기는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 내부에서 폭발과정을 통해 작동하며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기계적인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력을 생성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디젤, 알코올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과, 수소 연료전지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외기 기반 엔진이 있습니다. 원동기는 변속기와 전달축을 통해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며 대부분의 내연기관은 연료를 연소시켜 작동하므로 연료의 공급과 배기 .. 2023. 4. 7.
OTA 뜻 전기차 관련하여 OTA란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실 것입니다. 여기서는 OTA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OTA 뜻 OTA는 Over-the-Air의 약자로 전기차의 소프트웨어와 펌웨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하는 기술을 나타냅니다. 이는 전기차의 주행 제어, 배터리 관리,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고 최신화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SOTA, FOTA 등으로도 분화되어 쓰이기도 합니다. OTA 업데이트는 전기차의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고 버그를 수정하며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업데이트를 무선으로 진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전에는 전기차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차량을 직접 수동으.. 2023. 4. 7.
전기차 모터 AC와 DC 뜻 차이 우리는 생활에서 전기를 많이 쓰고 AC DC라는 말을 충전기 등에서 자주 봅니다. 특히 전기차 모터에서도 AC 모터를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데 그 용어의 뜻은 잘 모르고 사용하는 것 같아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1) AC DC 뜻 교류전기(AC)는 Alternating Current의 약자이고 직류전기(DC) Direct Current의 약자입니다. 교류전기(AC)는 전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전기 신호를 말합니다. 즉, 전류의 방향이 시간에 따라 바뀝니다. 전력 회사에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기 송전망을 통해 우리 집으로 전달할 때 사용하는 것이 교류전기입니다. 교류전기는 전류를 높여 전기를 전송하므로 전력 손실이 적고, 장거리 전력 전송에 효과적입니다. 반면 직류전기(DC)는 전류 방향이 일.. 2023. 3. 28.
전기차 모터 토크 뜻 및 클 때 장점 단점 모터 토크(Torque)란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의 크기를 말하며, 이는 모터의 구조와 전기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결정되는데 기차의 구동력과 가속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전기차 모터의 토크는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와 다르게, 주행속도와 무관하게 최대 토크를 바로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터가 전기를 받았을 때 즉각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보다 가속성이 뛰어나며, 타이어가 급격한 회전력에 견디지 못해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 됩니다. 1) 전기차 모터 토크 클 때 장점 첫째, 모터 토크가 클수록 가속성이 좋아집니다. 전기차의 모터는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과 달리 최대 토크를 발휘하는 범위가 .. 2023.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