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컴퓨터상식

M.2 NVMe SSD에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의미 알아보기

by 변화마스터 2023. 12. 29.
반응형

최근 많이 쓰는 SSD에 M.2 NVMe SSD가 있습니다.

줄여서 M.2라고 많이 하는데 종종 SSD, SATA, 2.5인치와 같은 용어가 같이 쓰여 혼란을 느끼는 분들을 위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2 NVMe SSD 차례대로 알아보기

먼저 M.2는 소켓의 규격을 의미합니다.

전문용어로는 이를 폼팩터라고 한다고 하네요.

우리가 잘 아는 2.5인치 역시 폼팩터입니다.

폼팩터가 다르면 물리적으로 부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2.5인치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대부분의 메인보드에 붙어있는 SATA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기 때문에 가장 호환성이 좋습니다.

반응형

하지만 M.2의 경우에는 M.2가 들어가는 슬롯이 있는 메인보드에서만 장착이 가능한데 최근의 메인보드에는 대부분 있으니 장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메인보드에 M.2 슬롯이 없거나 모자라는 경우에는 따로 장치를 구매하여 장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폼팩터에는 mSATA와 U.2도 있다고 하는데 mSATA는 10년전 컴퓨터에서 본 기억은 있는데 현재는 잘 안쓰이는 것 같고 U.2의 경우에는 서버 및 기업용이라고 하니 주변에서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그래서 폼팩터의 경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2.5인치 SATA와 M.2가 되겠네요. 

반응형

NMVe 프로토콜

NMVe에 관련하여서는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둘이 연관된 개념이라 보통 혼용되어 많이 쓰이는 것 같아서 정확하게 나누려고 하니까 좀 어려운데 이 부분은 제가 이해한 것을 적는 것이라 혹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다른 자료와 정확한 정보를 원하시면 다른 자료와 꼭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인터페이스는 전자적 또는 단자 등의 물리적인 컴퓨터 통신 방법으로 컴퓨터에서는 대표적으로 SATA, PCIe가 있습니다.

SATA는 보통 하드를 연결하는 그 단자를 의미하고 PCIe는 비디오카드를 꽂는 그 길다란 단자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물리적인 규격 단자를 의미한다고만 생각했는데 전자적인 통신 방법도 의미한다고 하네요.

아마도 규격은 다르지만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그리고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주고받는 메시지 양식과 규칙 체계이며 여기에는 AHCI, NVMe가 있습니다.

보통 NVMe - PCIe , AHCI - SATA 이렇게 연결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정확히 말하면 PCIe의 인터페이스에 NVMe 프로토콜인데 많은 자료에서 둘을 혼용하는 듯이 보입니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했듯이 요새는 M.2 규격에 NVMe 프로토콜,  PCIe 인터페이스가 가장 흔한 최신 컴퓨터의 메인 하드이기 때문에 간단히 M.2만 적어도 VMe 프로토콜과 PCIe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최근 많이 쓰이는 M.2 NVMe SSD 에 대해 관련 용어와 내용을 알아보았는데 좀 어려운 것 같습니다.

복잡한 것은 잊더라도 M.2와 일반SSD는 소켓 단자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연결하는 부분이 다르고 최근에는 M.2가 대세이고 가격도 저렴해지고 있어 될 수 있으면 M.2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라는 것만 알고 가셔도 될 것 같습니다.

 

 

SSD 교체할 때 주의해야할 SATA, M.2 NVMe 종류

요새는 어느 새 SSD 하드가 대세가 되어 이제 많은 컴퓨터에서 SSD를 사용합니다. 이제 HDD는 고용량이나 중고가 아니면 잘 쓰지 않는 것 같네요. 그런데 최근의 SSD는 기존에 우리가 알던 3.5인치 HDD

cartney7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