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하다보면 아니 업무를 하다보면 엄청난 양의 그림파일을 보게 됩니다.
그림파일이긴 하지만 그 중 많이 볼수 있는 그림파일 확장자는 JPG, GIF, BMP, PNG 등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림파일 저장할 때 그림파일확장자가 보이면 막상 무엇으로 저장할지 정확히 몰라서 한 두가지를 정한 후 항상 저장했던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저도 주로 JPG로 저장을 하는데 여기서 그림파일 확장자가 비슷하긴 하지만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떻게 저장하는 것이 더 좋은지 확인을 하고 싶어서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아마 가장 많이 보는 그림파일 확장자는 JPG라는 파일일 것입니다.
JPG파일은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개발위원회에서 개발되어서 그 첫글자들을 따서 만들어진 그림파일 확장자명입니다.
그래서 jpeg나 줄여서 jpg 확장자로 쓰입니다.
JPG파일은 그림 파일을 저장할 때 손실 압축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계속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게 되면 그림파일의 화질이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한두번은 그 차이를 느낄 수 없겠지만 여러번 반복하면 확실히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뛰어난 압축률과 화질로 인해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는 그림 파일 형식이 되었으며 대부분의 그림파일을 이 형태로 저장하더라도 그래픽 관련업무가 아닌한 크게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다음은 BMP파일입니다.
그림파일의 기본이라 할 수 있고 가장 큰 특징은 비트맵 파일이라고 하는것입니다.
윈도우에서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며 파일의 크기와 픽셀(점)의 좌표 값,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컬러일 경우 RGB 값으로 3개의 색상의 혼합 색 정보를 가지게 되는데 RGB는 RED GREEN BLUE의 약자입니다.
비트맵 파일은 이러한 정보를 압축하지 않고 고스란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량도 매우 큽니다.
다만 비트맵 파일의 특성상 좌표를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확대 축소에 의해 그림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GIF입니다.
GIF는 Graphics Interchange Format의 약자로 256색까지만 지원하지만 투명 바탕화면이나 애니메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에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움짤들은 gif형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gif파일은 특허 소송에 휘말리게 되었고 비손실 압축방법을 이용하는 gif파일의 압축 알고리즘이 문제가 되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만든 것이 PNG파일입니다.
PNG파일은 Portable Network Graphics의 약자로 PNG파일은 GIF와 같이 비손실 압축방법을 이용하며 투명한 배경을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F처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수 있는 기능은 없지만 GIF의 한계인 256컬러를 극복하였고 JPG처럼 1670만 컬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통 이러한 컬러범위를 트루컬러(True Color)라고 합니다.
따라서 업무적으로는 JPG가 용량도 적고 많은 색을 사용할수 있어서 가장 많이 쓰이지만 자주 저장할 경우 그림손실이 일어나고 애니메이션 등의 효과를 위해 다른 파일도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T 컴퓨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전원공급장치기 (0) | 2021.01.09 |
---|---|
CPU 메모리 마더보드 기능 (0) | 2021.01.08 |
CSS 뜻 (0) | 2021.01.07 |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UX 사용자 경험 (0) | 2021.01.06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SaaS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