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상식

롱포지션 숏포지션 뜻

by 변화마스터 2022. 7. 25.
반응형

예전에는 주식하는 사람들도 적었는데 이제는 밥먹다가도 주변에서 숏쳤어야했는데 이런 얘기를 듣게 되는 것이 일상화가 된 것 같습니다.

이제 흔한 용어가 된 숏친다 등의 용어도 모르는 사람에게는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롱포지션 뜻

롱포지션 뜻은 가격이 오르면 수익을 주는 금융상품을 매입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롱포지션에 사람들이 배팅을 많이 한다는 것은 해당 자산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입니다.

롱포지션 숏포지션 뜻

숏포지션 뜻

숏포지션 뜻은 반대로 가격이 내리면 수익을 주는 금융상품을 매입한다는 뜻입니다.

숏포지션은 큰 이슈가 될 때 덩달아 이슈가 되는데 어떤 자산의 가격이 급락할 때 그 자산에 대한 숏포지션을 잡으면 엄청난 수익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당 자산의 가격 급락에 이익을 보기 때문에 많은 부정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고 역사적으로 폭락을 경험했을 때는 어김없이 해당 자산의 숏포지션으로 이익 본 사람들이 관심을 받게 됩니다.

 

반응형

롱포지션과 숏포지션은 레버리지를 이용한 투자방법으로 이익을 볼 때는 엄청난 이익을 보게 되지만 손해볼때는 망한다는 표현이 맞을 만큼 큰 손해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레버리지 투자이고 또한 미래 가격에 배팅하고 방법이 일반 거래보다는 조금 더 복잡하기 때문에 롱숏으로 투자하는 것이 좀 있어보이는 투로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큰 위험이 있는 투자이니 성향이 그렇지 않은 분들은 그런 투자에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할 것 같습니다.

롱포지션과 숏포지션을 기관에서는 위험에 대한 헷지 형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뉴스에서 공매도를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공매도도 숏포지션을 이용한 매매기법으로 현재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주가 상승에 부정적이라는 여론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숏포지션은 숏셀링(short selling)과 숏커버링(short covering)의 단계로 나뉘어집니다.

숏셀링은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을 빌려서 이를 매도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상품을 상대방에게 빌려 이미 매도를 처리한 것으로 숏셀링을 하게 되면 빌린 상품을 판 현금과 빌린 상품을 값아야하는 의무가 남게 됩니다.

숏커버링은 상품의 가격이 내리면 현금으로 매입한 후 매입한 상품으로 빌린 상품을 상환하는 것입니다.

위에서는 빌린 상품을 매입한 후 상환 의무를 해소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상품의 가격이 많이 하락해서 다시 매입할 때 싼 가격에 사서 큰 수익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CB(전환사채) 자본인지 부채인지

CB가 전환사채이고 기업의 자금 조달 수단으로 많이 쓰인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전환사채가 자본인지 부채인지 누군가가 물어보면 그 동안 생각을 안해봤다면 잘 안다고 생각

cartney79.tistory.com

 

 

반응형

'경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뜻  (0) 2022.07.31
FED, FRB, FOMC 구성 및 인원수  (0) 2022.07.30
PER PBR PSR 뜻과 비교  (0) 2022.07.24
주식 용어 - 멀티플(mutuple), 컨센서스(consensus)  (0) 2022.07.22
SEC 증권거래위원회  (0) 20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