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택트가 주목받으면서 넷플릭스와 같은 OTT 업체 및 웹툰, 웹소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언택트라서 주목받기는 했지만 OTT와 웹툰, 웹소설은 최근 몇년간 엄청난 성장을 하면서 저희들의 삶에 침투하고 있었습니다.
언택트에 의해 다시 한번 주목을 받은 셈이 되었죠.
웹툰, 웹소설과 관련해서는 네이버와 카카오페이지를 빼놓을 수가 없겠죠.
그런데 다음웹툰도 꽤 유명한데 뉴스를 읽다보면 카카오페이지와 다음웹툰이 명확히 구분이 안되더라구요.
하지만 카카오페이지와 다음웹툰은 분명 각자의 독립된 사이트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태원클라쓰 같은 웹툰을 보면 카카오페이지와 다음웹툰에 둘 다 있고 같은 회사인 듯 다른 회사인 듯 아리송하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알아보았는데 다음웹툰이 다음웹툰컴퍼니라는 명칭으로 카카오페이지의 사내독립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더라구요.
여기서 사내독립기업뜻에 대해 한번 알아보려고 하는데 사내독립기업 또는 사내독립회사는 영어로 CIC(Company In Company)로 표시하고 기업 내부에 조직하는 스타트업, 사내 벤처 같은 소규모 회사를 지칭한다고 합니다.
물론 다음웹툰컴퍼니는 소규모라고 생각이 들지는 않지만^^
아마 혁신 적이고 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해 설립이 되는 다른 목적에 더 부합할 것 같네요.
즉 법인은 한 법인이지만 그 외에는 독립된 회사처럼 운영되는 구조를 사내독립기업 영어로는 CIC라고 합니다.
자세히 얘기하면 사내독립기업(CIC)은 회사를 아예 분사시키는 것과 달리 사내 조직 형태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독립된 회사처럼 운영되기 때문에 계층 구조가 기존 구조에서는 빠지게 되어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당연히 조직장의 의사결정 권한도 다른 비슷한 규모의 부서에 비해 클 수 밖에 없고 덕분에 시장 변화에 더욱더 능동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사내독립회사는 기존 조직과 업무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사내독립회사(CIC)는 자신이 맡은 사업에만 집중할 수 있어서 해당 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CIC는 대외적인 법인은 같지만 본사와는 구분된 독립자본을 통해 따로 사내 기업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독립채산제로 운영됩니다.
투자와 신규 사업 개발에 필요한 기획 기능, 회계,자금,구매 등의 재무 기능, 인사기능, 총무기능 등 독립회사 운영에 필요한 모든 조직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회사인데 보상제도를 특정 부서에만 적용하여 동일 상이한 급여 체계를 구성하면 노동법에 위반이지만 사내독립회사(CIC)로 독립시킨다면 다른 급여 체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사하지 않고 상이한 인센티브를 제공,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내독립회사는 많은 대기업에서 신규 사업 등 조직원 동기를 계속 자극하고 유지해야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경우 운영되고 있고 가장 성공한 케이스는 바로 네이버인데요, 네이버도 처음에는 삼성그룹의 사내 벤처기업으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네이버의 경우 주요신사업을 사내독립회사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사내독립회사로 운영이 되어가다가 일정 규모이상이 되면 분사를 하게 되겠죠.
이렇게 사내독립회사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두 개 회사처럼 보이면서도 명확하게 기업정보에 명확하게 두 개로 나뉘어지지 않은 경우 사내독립기업을 한번 생각해보시면 궁금증을 해결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경영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BITDA 뜻 (0) | 2020.06.30 |
---|---|
PER PBR EPS 뜻 차이 (0) | 2020.06.28 |
태양의후예, 이태원클라쓰문화산업전문회사 SPC 뜻 (0) | 2020.06.19 |
테이퍼링 뜻, 테이퍼 텐트럼 뜻 (0) | 2020.06.10 |
ARPU 뜻 - 아르푸(객단가) (0) | 2020.06.01 |